raspbian2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설치 - 02. 라즈비안 초기 설정 최종 확인날짜 : 2020.3.4 1. 개요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라즈비안 초기 설정만을 작성하였습니다. 라즈비안에서 자주 변경되는 옵션들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도와주는 패키지인 raspi-config의 자세한 설명은 raspi-config 명령어 글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2. 모니터 없이 Wi-Fi 및 SSH 활성화(옵션) 아래 항목에서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와 키보드를 연결 후 Wi-Fi 연결 및 SSH 활성화 작업을 설명하는데 그 과정을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없이 하는 방법으로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/키보드를 연결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강력 추천합니다. 라즈비안 모니터 연결 없이 Wi-Fi 연결 SSH 활성화 3. 부팅하기 라즈비안 OS 가 설치된 SD 카드를 삽입 .. 2020. 1. 27.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설치 - 01. SD 카드 준비 작업 최종확인날짜 : 2020.3.4 1. 개요 이 글에서는 홈 네트워크 간 파일 공유/클라우드 서버를 주목적으로 홈 서버를 만들기 위한 준비과정입니다. 홈 서버로 많이 사용하는 리눅스를 사용하기로 정하였으며 리눅스 기반의 여러 OS가 서버용으로 특화되었으나 이 글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라즈베리파이(Raspberry Pi)를 개발한 라즈베리 파이 재단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라즈비안(Raspbian) OS를 사용합니다. 1.1 준비물 1. 라즈베리파이 보드(이 글에서는 Rasberry Pi 3 +B) 2. 라즈베리파이 전원 공급용 어댑터(정격전류 2 A 이상) 3. Micro SD 카드(Lite 버전 기준 4G 이상, Desktop 기준 8G 이상) 4. HDMI 케이블 2. Micro SD 카드 포맷(옵션) .. 2020. 1. 27. 이전 1 다음